얼굴을 보면 명기가 보일까?

newstory

얼굴을 보면 명기가 보일까?

​먼저 명기에 대한 문헌을 살펴보면, 일본은 게이샤 문화가 많이 발달되었는데, 그들은 명기에 대한 연구가 대단하였다.

​중세 일본 게이샤에 대한 연구서들을 보면, 그들은 명기의 기준을 잡고 게이샤의 명기에 대한 그림들을 그려놓고 홍보를 했다.

​당시엔 오늘날 같은 사진기술, 인터넷 등이 없었기 때문에 화가들의 손을 빌려야 했겠지만 그 그림들을 보면 명기가 어떤 것인지 윤곽이 드러난다.

​명기에 관한 또 다른 문헌을 보면, 명기는 현녀방중경에 나온 품계로 따져 보자면, 36품으로 나 뉘어진다. 그것도 정확하게 일품부터 36품까지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 귀천이 결정되어 있다.

​일본의 게이샤 문화의 명기에 대한 그림과 중국 황실의 명기에 대한 품계는 어떻게 가능한 것일 까?

​그것은 명기가 형태적인 구분과 구조적인 구분이 가능한 신체의 일부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.

​신비하게 숨겨진 그 어떤 것이 아니라, 신체의 일부로서 그 자체가 조직기관으로 뚜렷한 형태와 구조로 모든 여자들이 제각기 다르게 생겼다는 것이 구분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.

​그렇다면 명기를 알아 볼 수 있는 관상술이 있을까?

​명기가 존재하고 명기를 구분하는 문화나 품계가 있다면 그에 따른 관상술도 있을 수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. 명기에 대한 관상술도 일본이나 중국 황실에서는 발달되었다.

​명기를 구분하는 직업을 채홍사라고 해서 그들은 미모와 명기를 겸비한 여색을 물색하러 다녔다.

​그들은 어떻게 명기를 찾았을까?

​얼굴을 보고 명기를 찾는 법은 우선 눈과 귀, 코, 입술을 본다.

​첫째, 눈은 간, 귀는 신장, 코는 폐, 입술은 비장으로서 명기는 그 구조가 정확한 비율로 크기나 형태가 일정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지녀야 한다.

​둘째, 귀의 구조를 명기의 형태로 판단하며 귓밥과 귓구멍 사이가 좁고 귀의 형태가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오믈린 것이 명기라고 판단한다.

​​세째, 입술의 구조를 명기의 감촉으로 판단하며 입술이 도발적으로 볼륨이 있고 도톰하며 입술 끝이 위로 올라간 것을 명기라고 판단한다.

​넷째, 코가 명기의 전체적인 구조로 보고 콧밥이 발달되어야 대음순,소음순이 발달되었다고 보며, 코끝이 오똑하고 살아있어야 명기라고 판단한다.

​다섯째, 눈은 명기의 반응점으로 보고 눈의 검은자, 흰자가 뚜렷하게 구분되고 눈이 밝고 맑아 야 하며, 눈긑이 약간 위로 치솟아야 명기라고 판단한다.

Leave a Comment